dbbg-icon

가장 상용화된 단백질 품질 평가 지표,
아미노산스코어

amino-acid
단백질은 아미노산(Amino-Acid)이라는 작은 단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의 몸 속에는 총 20 가지의 아미노산이 존재합니다. 그 중 일부는 체내에 부족할 시 인체가 대사 과정을 통해 자연적으로 합성하는 반면, 나머지 일부는 합성될 수 없어 반드시 음식을 통해 보충되어야 합니다. 이처럼 식이 보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총 9 가지의 아미노산들을필수아미노산(Essential Amino-Acids, EAA)이라고 부릅니다. 우리가 평소에 단백질을 섭취해야 하는 이유도 결국 충분한 필수아미노산을 보충하는 데 있습니다. 즉, 같은 양의 단백질을 섭취하더라도 그것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체내에 이용될지는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지요. 이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식품 내 단백질 1 그램 당 9 가지의 개별 필수아미노산에 대한 권장 함유량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amino-acid-score
아미노산스코어(Amino-Acid Score)는 바로 이러한 필수아미노산 기준 함량을 토대로 측정하는 단백질 품질 평가 지표입니다. 9 가지의 개별 필수아미노산 중에서 각각의 기준 함량에 비례하였을 때 함량 수준이 가장 낮은 한 가지에 맞춰 점수가 측정되기에, 높은 품질을 인정받기 위해선 모든 필수아미노산들을 예외 없이 충분히 갖춰야 합니다. 즉, 필수아미노산의 단순 총량도 중요하지만, 더 나아가 이들을 적절한 비율로 많이 함유할수록 좋은 품질의 단백질로 인정받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다양한 단백질 급원 중에서 특히 콩류(Methionine 등 부족)나 곡류(Lysine 등 부족)와 같은 식물성 단백질은 품질이 다소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단백질 품질 평가 지표로는 이 외에도 생물가(BV), PDCAAS, DIAAS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아미노산스코어는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만큼 가장 상용화된 단백질 품질 평가 지표입니다. 특히, 식자재 원물이나 복잡한 가공식품이 아닌 순수 단백질 추출 분말로 이루어진 단백질 보충제의 품질을 측정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amino-acid-score-analysis
그렇다면 과연 기존 단백질 보충제 제품들의 아미노산스코어 현황은 어떠할까요? 당사 개발팀이 직접 아미노산 함량이 공개된 다양한 국내외 제품들의 아미노산스코어를 측정해 본 결과, 위 그래프에서 드러나듯 제품들 간 편차가 단순히 클 뿐만 아니라, 식약처의 건강기능식품 인정 기준인 85점에 미달하는 제품들마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러나 아미노산스코어는 영양성분표처럼 법적인 공개 의무가 없으므로, 제조사 측에서 마케팅 차원의 불리함을 무릅쓰고 명확히 고지하지 않는 이상, 제품을 구매할 소비자 입장에서는 사전에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기 어려울 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이와 같은 품질 불안 요소를 극복할 방법은 없을까?"
앞선 문제점에 대한 해결 필요성을 인식한 당사 개발팀은 오랜 연구 끝에, 단백질 분말 원료 조합의 아미노산스코어를 최대화하는 최적의 배합 비율을 계산하는 수학적 알고리즘 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를 적용하였을 때 기존 제품 대비 약 130 ~ 200% 가량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고객이 선택한 원료 조합에 대해 위 알고리즘을 통해 단백질의 품질을 최대화하는 '개인맞춤형 단백질 보충제' 제조 시스템을 기획하였고, 지속적으로 솔루션을 구체화한 끝에 마침내 특허를 출원하였습니다.
amino acid optional ratio
평범함은 추구하지 않습니다.
품질에 대한 끈질긴 집념이 담긴 단백질 보충제.
고기능성 프리미엄 식물성 단백질
megamix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단백질,
꾸준히 잘 챙겨 먹고 건강 챙기세요!